Live2D란
일러스트에 생명을 불어넣어
2D 입체 표현을 가능하게 한
Live2D라는 표현 기술.
일러스트에 생명을 불어넣어
2D 입체 표현을 가능하게 한
Live2D라는 표현 기술.
특징 1
3D와 비교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3D는 원화를 바탕으로 모델을 움직이게 하는 데 비해 Live2D는 원화를 그대로 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 그림이 가진 매력을 직접적으로 살리면서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Live2D의 표현 기술로 그린 그림이 생동감 있게 움직임으로써 상승효과가 발생해 작품에 각별한 애정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특징 2
Live2D를 사용한 작품 대부분은 라이트 노벨이나 2D 애니메이션 등 원작이 있는 작품이거나 저명한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원화를 사용한 작품입니다. 이는 원작 및 원화의 이미지와 질감은 유지하면서도 입체적이고 인터랙티브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는 Live2D만의 매력에 의한 것입니다.
원화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작품이 가진 이미지를 소중히 하고 싶은 작가와 팬 모두가 만족하는 비주얼로 완성됩니다.
© Crypton Future Media, INC.
강점 1
지금은 원작을 토대로 각종 미디어에서 다양한 전개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주얼은 미디어마다 이미지 차이가 있습니다.
Live2D라면 하나의 모델로 영상, 앱, 게임 등 각종 미디어 전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비주얼 이미지의 통일을 실현합니다.
강점 2
2008년에 등장한 이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온 Live2D는 iOS나 Android와 같은 모바일 OS용 앱 및 가정용 게임기 외에, 게임 개발 환경 Unity에도 대응해 왔습니다.
또한 이벤트 및 라이브 영상용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도입하는 등 폭넓은 용도에서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01
Live2D는 원화 자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입체 표현을 실현합니다. 이 때문에 반드시 최소 한 장의 원화(일러스트)가 있어야 합니다. 원화는 움직이고자 하는 파트별로 구분해 둡니다.
원화를 PSD 데이터 내에서 파트별로 레이어를 구분해 저장하면, Cubism Editor 내에 레이어명과 표시 순서가 적용된 상태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공의 바탕이 되는 원화 데이터
움직이게 하고자 하는 파트별로 분해한 상태
02
전항의 데이터로부터 Live2D 모델을 작성합니다. 각 파트에 할당한 폴리곤에 대해 ‘디포머’, ‘파라미터’ 등 Cubism Editor의 편집 기능을 사용해 모델의 동작 범위를 적용해 나갑니다.
Cubism Editor에는 Live2D 모델링을 쾌적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 적극 활용해 보세요.
03
완성된 모델에 연기를 적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듭니다. 타임라인에 따라 키 프레임을 지정함으로써 Live2D만의 섬세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물리연산에 의한 머리카락의 흔들림을 적용시키거나 음성 파일로부터 입을 여닫는 동작을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립싱크 등 애니메이션 표현을 풍부하게 해 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04
작성한 애니메이션은 영상 파일, GIF 애니메이션, 연속 스틸 이미지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Cubism AE Plugin을 사용하면 Adobe® After Effects®software상에서 Live2D 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영상 작품으로서의 품질 향상을 위해 활용해 보세요.
또한 앱 및 게임용 파일로 내보낼 수도 있어 장르를 불문하고 폭넓은 용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ve2D Cubism의 자세한 사용법, Live2D 모델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여기
Live2D 제작 전반의 질문 혹은 크리에이터와의 교류를 원하시는 분은 여기
Live2D 유저들의 모델 제작에 대해 알고 싶다면 여기